![]() |
전기차. /사진=머니S |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이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많게는 1200만원에 달하지만 한 푼도 지급하지 않은 곳도 있어 보급률 편차가 커질 전망이다.
28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개인이 전기차를 살 때 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은 지역에 상관없이 차량 1대당 1400만원으로 똑같지만 지자체 지원 보조금은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보조금에 지방보조금을 보태서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전국 243개 중 101개다. 가장 많이 주는 지방자치단체는 1200만원을 지원하는 경북 울릉군이다. 울릉군 주민은 본인이 1400만원만 부담하면 정부·지방보조금 2600만원을 합쳐 4000만원짜리 전기차(현대 아이오닉 기본사양 기준)를 살 수 있다.
충북 청주시는 1000만원, 전남 순천시는 800만원을 지방보조금으로 지원한다. 지자체의 지방보조금 액수는 대부분 500만∼600만원 선이다.
지방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자체 중에서는 경남 통영·사천·양산·의령 등이 가장 적은 액수인 300만원이며 지방보조금 액수와 전기차 보급은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가 가장 많은 ‘톱3’ 지역인 제주(5629대), 서울(1498대), 경기(650대)는 지난해 지방보조금이 500만∼700만원으로 높은 수준이다.
반면 세종(25대), 전북(57대), 충북(60대), 대전(74대)처럼 지난해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300만원만 지급한 시·도는 전기차 보급이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지난해 말 전국 전기차 등록 대수는 총 1만855대로 불과 5년 전인 2011년 344대와 비교하면 31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2642억원을 들여 1만4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지역별 지방보조금 지원 현황 등 전기차 보급사업과 관련한 정보는 전기차통합포털이나 통합콜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