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뉴시스DB |
가계대출이 13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4분기에만 47조원 넘게 늘었고 연간 증가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이 1344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보다 47조7000억원(3.7%) 늘어났다.
은행권은 지난해 4분기 가계대출 증가폭은 2015년 4분기(22조2000억원)보다 떨어진 17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금융당국이 급증하는 가계 빚을 잡기 위해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은행들이 대출심사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반면 제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년새 급증했다. 4분기 말 제2금융권 가계부채 잔액은 291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3조5000억원 늘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증가 폭이다.
대출심사 강화로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진 금융 취약 계층은 보험·상호금융 및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면서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은행 가계부채 증가세는 주춤해진 반면, 제2금융권에서의 가계 부채 증가로 부채의 질이나 양 모두 악화된 셈이다.
제2금융권은 취약차주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금리상승 등 리스크요인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상환능력이 부족한 차주나 사업성이 부족한 사업장에 대한 대출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이전된다면 가계 대출 부실 우려도 높아진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한자릿 수’로 관리한다는 목표에 따라 제2금융권의 가계부채 옥죄기에 나선다. 올해 상반기 총 70개 조합과 금고에 대한 특별점검을 추진하고 보험과 여신업권에 대해 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제2금융권의 지나친 가계대출 확장은 ‘은행권→비은행권으로의 리스크 전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외연 확장보다 리스크관리에 힘써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