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프=KT |
22일 KT에 따르면 SABS 개발 프로젝트는 국토교통부에서 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과 최단경로 설정을 위해 추진하는 항공안전사업으로 2014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구축을 총괄하고 있다.
SABS가 개발되면 현재 30m 수준인 GPS 오차를 1~2m 수준으로 줄여 더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해 이착륙 시 항공안전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연료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 재난안전, 교통, 국방,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KT 컨소시엄은 2022년 10월까지 위성임차 및 운용, 기준국·중앙처리국·위성통신국·통합운영국 등 지상설비 구축, 통신네트워크 장비 제작·구축 및 장비 연동시험 인증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항공우주연구원은 향후 SABS를 기업 등 민간에 단계적으로 개방해 재난안전 및 네비게이션, 드론, 자동차 등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박정호 통합보안마케팅담당 상무는 “초정밀 GPS 기술 및 인프라를 활용해 안전, 교통,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할 것”이라며“특히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재난안전분야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