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방부는 이날 롯데 측과 교환대상 부지에 대한 감정평가 결과를 토대로 남양주 부지 약 6.7만㎡와 성주C.C. 부지 약 148만㎡를 교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부지 교환이 확정되면서 사드 배치는 5~7월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 내부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안보와 직결된 국가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서 운신의 폭이 없는 처지지만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롯데가 지난 27일 이사회 결과를 브리핑하지 않은 것도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적 차원의 의사 결정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자사를 최대한 부각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 같은 롯데의 조심스런 태도에도 중국은 롯데그룹을 정조준하며 으름장을 놓았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롯데는 중국 내 유통업체만 해도 150개의 슈퍼마켓을 거느리고 있고 이를 통해 3조원의 매출을 내고 있다”며 “만약 중국 정부가 롯데에 실제 (제재) 조치를 취한다면 롯데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볼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롯데가 중국에서 많은 이익을 거둬들이고 있음에도 수많은 중국인들을 분노케 했다”며 “(롯데의 부지 교환 계약은) 적반하장적 행위”라고 평했다.
예상되는 보복 조치는 롯데 소비자 불매 운동, 중국내 롯데 계열사에 대한 전방위적인 세무조사와 소방 점검 재개 등이다. 특히 오는 3월15일 중국 ‘소비자의 날’을 앞두고 중국 언론과 소비자단체로부터의 공세가 거세질 전망이다. 중국 CCTV는 해마다 이날 특정 외국기업을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의 제물로 삼아왔다. 이번 표적은 롯데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롯데가 약 3조원을 들여 중국 선양에 추진해온 ‘중국판 롯데월드(테마파크)’ 사업에는 제동이 걸렸다. 중국 당국이 지난해 12월 롯데의 ‘롯데타운 프로젝트’ 핵심 사업인 롯데월드 조성 공사 중단 조치를 내린데 이어 이번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롯데는 사면초가에 몰렸다.
한편 롯데는 1994년 중국 진출 이후 10조원이 넘는 금액을 중국에 투자해왔다. 롯데제과,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 22개 계열사가 중국에 진출해 120여개 사업장, 2만6000여명 임직원을 두고 있다. 연간 중국 매출 규모는 약 3조2000억원으로 그룹 전체 85조원의 3.8%가량을 차지한다. 롯데면세점 매출의 80%는 중국인 관광객 구매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이번 사드 배치 사안으로 그동안 중국 시장을 끊임없이 두드려온 롯데의 노력이 한순간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