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는 안구 표면의 눈물을 빠르게 증발시켜 우리 눈을 괴롭게 할 뿐만 아니라 이시기 불어오는 황사에는 각종 미세먼지 및 중금속 물질이 들어있어 눈처럼 예민한 기관의 경우 심하게는 각막염까지 걸릴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눈물계통의 장애(안구건조증)’ 통계에 따르면 2014년 봄에는 환자수가 약 102만명이었던데 반해 2015년 봄에는 약 105만명, 2016년에는 약 107만명 등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3년 연속으로 봄 초기인 3월에 환자수가 가장 많았다.
◆눈깜빡임 없이 10초 못견디면 심각한 안구건조 의심
안과 전문의 류익희 원장은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여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어긋나서 발생하는 안질환으로 눈물 생성 기관에 염증이 생기거나 지질막 성분이 부족해서 발병할 수 있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 |
그렇다면, 자신이 안구건조증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류 원장은 “먼 곳을 주시하면서 눈을 감지 않고 견디는 시간에 따라 안구의 상태가 다르다”며 “20초 이상 견딜 수 있다면 건강한 눈이지만 10초~20초대까지 버틴다면 인공눈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고단계이다”라고 자가진단법을 소개했다. 그리고 “단 10초도 견딜 수 없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어떤 것이 문제인지 검진을 받고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안구건조증은 발생 이후 치료와 함께 미리미리 예방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미세먼지가 만연한 봄 무분별한 렌즈 착용은 각막에 상처를 더할 수 있으므로, 평소보다 공기가 탁하거나 바람이 불거나 건조한 날에는 안경을 착용하여 눈 건강을 지키는 것이 좋다.
진한 눈화장이나 오랜시간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 노출은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 안구의 눈물이 증발할 수 있으므로 중간중간 적당한 휴식을 취하거나 먼 곳을 바라보면서 눈을 쉬게 해 주는 것이 좋다.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지 않다면 건조할 때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인공눈물을 사용하고, 휴식을 취해도 안구건조증이 심하다고 느껴진다면 병원에 방문해서 염증 여부를 진단받고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과도한 스마트 기기 사용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안구건조증이 발병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가 심하고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이 부는 봄에는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야외활동 시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중년의 경우에는 등산 등 다양한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인데, 이 때 모자나 안경 등을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야외활동 중 눈이 가렵거나 따갑더라도 맨손으로 비비거나 하지 않는 기본적인 습관들도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류익희 원장은 “안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타민A가 풍부하게 들어있는 당근과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 블루베리를 섭취하면 좋다.” 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