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시스DB |
그 결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인지도는 30.5%에 불과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12.8%에 불과했다. 건강보험제도를 학습했다는 응답은 11%에 불과했다.
건강보험제도의 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인지도와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공보험과 사보험의 차이에 대한 인지도는 13.3%에 불과했다. 사회보험 중 인지도는 국민연금(51.5%)이 가장 높고 건강보험은 49.5%로 나타났다.
출산 고령화 시대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제도로는 국민건강보험(45.8%)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국민연금 (27.5%), 산재보험(10.0%) 순이었다.
건강보험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의료비 지원'(31.1%)이 가장 높고, '건강이 중요해서'(12.6%), '노인의 의료비부담 완화'(9.3%)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