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 교수. 김광두 원장. 사진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임한별 기자
김광두 교수. 김광두 원장. 사진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오늘(15일)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을 영입한 데 대해 "새로운 대한민국의 첫출발은 보수와 진보의 경계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은 보수성향 경제학자로 분류된다.

문 전 대표는 이날 당사에서 김 원장 등에 대한 영입 기자회견 이후 질의응답에서 "대한민국이 적폐를 청산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면 거기에는 보수와 진보의 가치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양극단 사람들을 제외한 개혁적이고 합리적인 진보, 개혁적이고 합리적인 보수는 함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기자회견에서 김 원장을 포함한 진보(김상조 한성대학교 교수), 중도진보(김호기 연세대학교 교수) 학자 3명을 영입하며 "진영에 갇힌 대통령은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없다"며 "진영을 넘어 원칙 있는 통합을 만들어 가겠다"고 호소했다.
이어 "연정은 전혀 다른 얘기"라며 "정부를 구성함에 있어 정강 정책을 달리하는 다른 정당들이 정책적 합의를 거쳐 일정한 장관직을 배분받는, 그렇게 해서 정부의 권력을 나누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칙적으로는 소연정이 원칙이다. 그러나 일부 대연정이 있는 것은 소연정만으로 의회 다수를 형성할 수 없을 때 주로 내각제 국가에서 내각을 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하는 것"이라며 "지금 우리는 대통령제이기 때문에 그것과도 맥락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유한국당의 경우에는 지금도 탄핵 결정에 불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정당과 지금 단계에서 대연정을 논의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며 "자유한국당이나 바른정당에 계신 분들 가운데서도 개인별로는 적폐 청산과 개혁이라는 가치에 함께한다면 같이 할 수 있는 분들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그것 역시 정당과 정당이 함께 정부를 구성하고 권력을 나누는 연정과는 전혀 다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