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22일 포스코센터를 방문한 톰 슈슬러 엑손모빌 사장(우측)을 만났다. /사진=포스코 제공 |
포스코는 22일 엑손모빌과 공동개발한 ‘슬러리파이프용 고망간강’의 양산과 공급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엑손모빌은 소재 채택에 있어 업계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다. 엑속모빌은 이번에 포스코의 고망간강을 슬러리파이프용 소재로 최초 적용, 포스코는 향후 오일샌드 산업향 슬러리파이프용 고망간강 판매를 늘리는 데 힘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와 엑손모빌은 지난 5년 간 슬러리파이프용 소재로 고망간강을 적용하기 위해 공동으로 슬러리파이프를 제조하고 현장설치를 통해 품질을 검증했다.
지난해는 포스코가 고망간강 및 용접기술로 약 1.2km 길이의 슬러리파이프를 제작, 엑손모빌의 캐나다 컬 오일샌드 프로젝트(Kearl Oil Sand Project)에 약 1년 간 시범설치함으로써 실제 가동 조건에서 성능을 시험했다.
이번에 적용된 포스코 고망간강은 기존소재 대비 내마모성이 5배 이상 우수하고 마모가 진행될수록 더 단단해지는 특성을 지녀 슬러리파이프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됐다는 게 회사측 주장.
슬러리파이프는 오일샌드 ‘슬러리’(Slurry, 모래·물·오일의 혼합물)로 인해 마모가 빨라져 설비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었다. 하지만 이번 고망간강 적용으로 전체적인 운영비용이 크게 줄고 파이프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기간이 줄어 오일생산량도 늘릴 수 있는 등 플랜트 가동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포스코센터를 방문한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컴퍼니(Upstream Research Company)의 톰 슈슬러 사장은 “엑손모빌과 포스코 간의 긴밀한 팀워크를 통해 오일샌드 유전채굴 및 생산에 활용되는 신규 고망간 철강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앞으로 고망간강을 활용해 슬러리파이프뿐 아니라 오일샌드 산업 내 다양한 방면에서 최고의 시너지를 내도록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포스코 고망간강은 망간 함유량에 따라 내마모성, 비자성(자성이 없는 성질), 고강도·고성형성, 극저온인성(극저온에서 강재가 깨지지 않는 성질) 등 다양한 성질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철강제품으로 꼽힌다. 향후 오일샌드 슬러리를 포함한 다양한 광물의 이송용 강관 및 설비 외에도 건설중장비, 군수용 방탄장비 등으로 확대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