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우조선해양 유동성위기와 관련해 대우조선을 살리는 것이 국민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전제하고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사채권자 등이 고통분담에 합의하면 유동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2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은 수주산업으로서의 특성과 세계 1위의 수주잔량을 감안해 현재 상황에서 선택가능한 모든 대안을 면밀하게 분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우조선은 선박과 해양플랜트 86척을 인도해 15조원을 회수하고 부족한 자금을 자체 조달하기 위해 1조8000억원의 자구계획을 이행했다"며 "사상 최악의 수주절벽에 직면하고 이미 건조된 선박의 인도까지 지연되면서 국책은행 지원하의 자구노력만으로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자금 지원에는 국책은행뿐 아니라 시중은행과 사채권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고통 분담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부총리는 "채무조정에 대한 합의 도출에 실패할 경우 이런 원칙에 따라 법적 강제력을 활용하는 사전회생계획제도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해 자율적인 채무조정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이해관계자들이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유동성을 지원하는 경우 경쟁력 없는 해양플랜트 부문을 대폭 축소하고 경쟁력 있는 상선과 방산 중심으로 사업재편을 가속화해 내년 이후에는 인수합병(M&A)을 통한 '주인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