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토리, 프랜차이즈 유행아이템 실태고발

지난 25일 MBC PD수첩에서 '프랜차이즈 하지마세요' 방송이후 29일, SBS뉴스토리도 '떳다방 프랜차이즈'를 통해 프랜차이즈 심각한 사례등을 소개했다.

방송에선 원조격인 단수이 카스테라가 등장한 뒤 유사 대만 카스테라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20개가 넘게 나왔고 가맹점은 전국에 수백 개가 생길 정도로 인기가 뜨거웠지만, 6개월도 안 돼 줄줄이 문을 닫고 있으며, 문을 닫은 대만 카스테라의 빈자리에는 핫도그나 오믈렛 같은 신종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고 방송됐다.

◆ 떳다방식, 1~2년안에 양도양수 권리금 챙겨야 한다고 소개
 
SBS 뉴스토리는 29일 본방송을 통해 '프랜차이즈가 떳다방'으로 전략한 사례와 정부규제 강화 등, 다각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방송에 나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은 "본의아니게 빚을 져서 고통을 안고 있다." "손실을 보고 집까지 경매당했다." "자살까지 생각할정도로 고통스러웠다."라고 하소연을 했다.
▲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자료사진 (사진=강동완 기자)
▲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자료사진 (사진=강동완 기자)

또 최근 인기를 이끌고 있는 핫도그 프랜차이즈는 본사브랜드 10개, 가맹점 1천개지만, 본사관계자는 높은 전망을 내세우고 있다.

방송에선 "소자본 창업은 단기성이다. 1~2년을 보시는 거다. 1~2년동안 확하고 양도 양수 진행해서 권리금을 받아 나오는식으로 해야 한다."고 소개, 핫도그를 단기성아이템이라고 못박는 사례가 소개됐다.

방송에서 또 프랜차이즈 전문가들은 "조개구이나 찜닭, 불닭 프랜차이즈 등 이미 떴다 사라진 프랜차이즈들처럼 1개의 아이템에 의존하는 유행성 프랜차이즈들은 오래갈 수 없고, 떴다 지는 주기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본사 관계자는 "결국에는 유행상품이 될수도 있지만, 처음에 타야한다."라며 "처음에 탄 분들이 다 망했다. 망했다 하지만 절대 안그렇다."고 강조했다.

떳다방식 프랜차이즈는 원조 브랜드에게도 피해를 주는 사례도 소개됐다.
한 가맹본부가 또다른 브랜드를 만들고 유사브랜드를 만드어 동일한 메뉴를 끼워팔기로 판매하는 것에 대한 규제가 미약한것도 지적됐다.

이외에도 방송에선 1천만 원이 넘는 가맹비에 5백만 원이 넘는 교육비, 여기에 인테리어와 식자재 공급을 하면서 가맹점주들의 쌈짓돈을 노린 가맹사업이 확산하면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5천 개를 넘어섰고 , 여기에 가입한 가맹점들은 20만 개가 넘는다. 국내에서 하루 평균 120개의 가맹점이 새로 생기고, 65개 정도가 폐업한다고 전했다.

◆ 업계목소리, 프랜차이즈 진입장벽 높여야 
이날 방송에선 프랜차이즈 전문 컨설팅사인 맥세스컨설팅의 서민교 대표는 "국내 프랜차이즈 신규설립기업에는 다섯개까지 정보공개서없이 사업을 할수 있는 법적인 맹점을 갖고 있으며, 진입장벽이 낮아 이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단 한곳의 직영점도 없이 운영되는 기획성 프랜차이즈가 떳다방처럼 움직이고 있어 정부는 프랜차이즈 진입조건을 강화해 직영점 운영경력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
▲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에서 소개된 아이템 사진 (사진=강동완 기자)
▲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에서 소개된 아이템 사진 (사진=강동완 기자)

이와관련해 방송을 통해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의 김창봉 원장(경영학부 교수)은 "창업의 실패는 신용불량자를 만들어내고, 빈부의 격차가 벌어지는 일로 연결되는 부분들이 가장 부작용이 크다."라며 "사업성을 인정받는 프랜차이즈들이 제대로된 가맹점주를 모아 철저한 교육시스템을 통해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 권혜정 가맹거래과장은 "지금 프랜차이즈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진입장벽을 만들어서 숫자를 제한하는 접근은 조금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것 같다."라며, 공정위에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공개서를 열람하고 가맹사업을 할지 판단하면 된다고 전했다.

또 "분쟁이 발생한 이후 해결키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히 정보를 제공받고 검토한후 가맹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굉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방송에선 허위 과장광고 등이 문제가 발생하면 가맹본부가 3배의 손해를 배상하는 '징벌적손해배상'을 도입하지만 이또한 도움을 받기엔 어려움이 있을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