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저임금 1만원. /자료사진=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 취임에 따라 민주노총 등 노동계 단체들은 노동관련 공약 이행을 촉구하고 나섰다. 어제(10일)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취임해 업무를 시작한 가운데, 노동계는 최저임금 1만원 공약 이행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성명을 내 "문재인정부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1700만 촛불의 요구를 잊지 말아야 한다.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 노동 존중 나라를 위해 거침없이 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2018년도 최저임금 1만원 인상'을 가장 시급한 노동정책으로 꼽으며 노정교섭의 즉각 추진을 요구했다.
이밖에도 집시법 위반 혐의로 수감 중인 한상균 위원장의 서신도 전달했다. 한 위원장은 서신을 통해 "민심이 모였기에 정권 교체는 추호도 의심하지 않았다. 시작이 반이라 했다. 약속했던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이라는 촛불 민심을 거침없이 추진해달라. 절박한 노동 의제를 뒤로 미루지 말고 노정 교섭으로 풀어가는 새 정부의 의지와 진정성도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한국노총도 성명을 내 "새 정부는 과거 정부가 보여준 정경유착과 단호하게 선을 그어야 한다.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고, 경제민주화 공약들을 이행해 비정규직 문제, 사회양극화 문제, 청년일자리문제를 해결하는 노동자 서민대통령으로, 성공한 대통령으로 역사에 길이 남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공약을 통해 2020년까지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인상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같은 계획에 따르면 올해 6470원인 최저임금을 연평균 15.7%씩 인상해야 한다.
지난해 7.3%, 그 전해 8.1% 오른 데 비하면 상승폭이 크지만, 노동계에서는 선진국 대비 최저임금이 너무 낮다며 최대한 빠르게 1만원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중소기업계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클 수 있어 최저임금 인상안에 부정적인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