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증시. /사진=뉴시스 DB
중국증시. /사진=뉴시스 DB
최근 중국증시의 조정폭이 깊다. 우리나라 코스피지수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것과 상반된다. 중국증시의 약세는 중국 당국의 부채감소를 위한 규제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중국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조정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건전성을 회복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긴축으로 중국증시↓… “중장기 건전성 확보”

지난 11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79포인트(0.39%) 하락한 3041.0에 오전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초 3300선을 바라보며 질주하던 때와 비교하면 한달 만에 약 200포인트가 빠진 셈이다.


중국판 코스닥시장인 선전증시도 급락세를 보이며 선강퉁(선전증시와 홍콩증시의 교차거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날 선전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22.80포인트(1.25%) 하락한 1799.76에 오전 거래를 마쳤다.

중국증시는 글로벌시장의 강세와 다르게 홀로 급락세를 보인다.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이후 선진국과 신흥국 주식시장은 각각 3% 이상 올랐고 아시아 신흥국은 4% 넘는 강세를 나타냈다.

중국증시의 약세는 중국당국의 부채감소를 위한 유동성 축소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정부는 지난 3월 양회에서 ‘부채 축소와 과잉생산 감축’을 올해 주요 과제로 언급하며 디레버리징(부채정리)에 주안점을 둘 것을 시사했고 시장에서는 투자심리가 약화됐다.


중국정부는 막대한 지방정부의 부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한도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중이다. 2015년부터는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을 허용해 은행대출을 채권으로 바꾸고 있다. 여기서 발행된 지방채는 글로벌투자자에게 판매해 중국 내 부채 부담을 덜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달 8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 류스위가 상장사 협회 정기회의에서 테마주의 이상과열을 경고하고 증시 불공정 행위를 엄단 조치할 것임을 언급한 점이 증시조정의 불을 당겼다. 아울러 은행감독관리위원회도 외부기관에 위탁운용을 맡기는 은행자금 규제를 최근 강화했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정부의 슝안신구 계획 발표 후 관련 테마주가 일주일 동안 50% 이상 급등현상을 보인 점이 당국의 조사 착수로 이어졌다”며 “또 그림자금융으로 분류되는 위탁 및 신탁대출이 지난 3월 증가하는 조짐을 보인 점 또한 은감위의 규제를 불렀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중국정부의 규제에 따른 유동성 긴축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부채관리는 부동산 버블억제를 위한 측면이 큰데 아직 부동산 가격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를 웃돌 정도로 높기 때문이다.

권희진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정책 의존도가 큰 중국 주식시장의 조정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긴축정책은 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완만한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정부는 유동성을 흡수하는 동시에 재정을 지출해 경기 경착륙을 방지할 것이라는 신호도 보내고 있다”며 “부채감소에 성공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건전성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