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감추이/자료=금융위원회
가계대출 증감추이/자료=금융위원회
4월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가 7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월(9조원) 대비 1조7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2조6000억원 늘어 어전히 풍선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위원회는 15일 금융감독원의 속보치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규모가 7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4월보다 1조7000억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금감원 감독·검사대상인 은행, 보험사, 상호금융, 저축은행, 여전사와 새마을 금고가 포함된다.

4월 은행권 증가액은 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4월에 비해 6000억원 줄었다. 부동산시장 하방리스크 우려와 시장금리 상승 등에 대응한 은행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화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전달에 비해선 가계대출이 1조6000억원 늘었다. 이는 이사 수요 등에 따른 계절적인 요인과 이미 승인된 중도금대출의 집행 등으로 집단대출이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실제 집단대출 증가액은 1월 3000억원, 2월 3000억원, 3월 1조원, 4월 1조4000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모기지도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주택금융공사의 정책모기지 공급은 1월 2조4000억원, 2월 3조6000억원, 3월 3조8000억원, 4월 3조2000원의 흐름을 보였다.

​4월 중도금대출 신규 승인은 3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위 측은 "사업성 등을 고려해 꾸준히 승인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시행된 3월 이후 둔화되는 모양새나 여전히 높은 수치다. 2금융권 중 수협, 산림, 새마을금고만 전년동기대비 가계대출이 소폭 늘었다.

상호금융의 4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1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4월보다 8000억원 감소했다. 보험권의 가계 대출은 3500억원 증가하며 전년동월대비 6000억원 줄었다. 저축은행과 여전사의 증가세는 3000억원, 2000억원으로 각각 전년동월대비 1000억원, 2000억원 감소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시장금리 상승, 가계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 노력 등으로 증가세가 안정됐다"며 "부동산시장 안정화 전망, 미국발 추가 금리상승 가능성, 분할상환 관행 정착 등으로 안정적 추이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