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는 사람에게 전염되는 전염병으로 치아에 충치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크게 치아, 음식물, 충치균 등이 있다.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뮤탄스균(S. mutans)이다. 뮤탄스균은 충치 초기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구강 환경 적응력이 워낙 뛰어나 거의 모든 사람의 입안에 살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그런데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는 뮤탄스균이 없다. 따라서 유아의 충치 원인은 요구르트처럼 단 음식 때문인 경우가 많지만 33개월 미만은 양육자의 뽀뽀가 충치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이다. 뮤탄스균은 식품 등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귀엽다고 입에 뽀뽀를 하거나 그릇이나 수저, 음식물 등을 통하는 과정에서 양육자의 입에 있던 뮤탄스균이 아기의 입에 전달된다. 
특히 이유식을 만들 때 아이의 숟가락으로 이유식을 맛보는 경우 충치균이 고스란히 아이의 입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같은 컵을 쓰는 것도 충치균이 있는 침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이와 관련해 치과 전문의 김선하 원장은 “아기의 입속으로 전염된 충치균은 세균 군을 형성해 평생 입안에서 서식하면서 충치를 일으킬 수 있어 충치가 있는 조부모나 부모는 아이에게 충치균이 옮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며 “아이가 귀엽다고 하더라도 되도록 뽀뽀는 입이 아닌 볼에 하고 뜨거운 음식은 후- 불어서 식히는 대신 자연 바람에 식혀 먹이고, 먹일 음식을 씹어서 먹이거나 하나의 숟가락으로 음식을 나눠먹는 일도 삼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입속 뮤탄스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균이 입안에 들어오는 과정을 차단하거나 시기를 늦추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최선이기 때문에 올바른 칫솔질로 충치를 예방해야 한다.

김원장은 “뮤탄스균은 짧은 시간에도 다량의 충치를 많이 만들어 낼 수가 있기 때문에 식후에 양치질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치아 사이가 촘촘한 경우 치실 등 보조용품을 활용해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고 수면 중에는 침 분비량이 줄어들어 구강 내 세균이 빠르게 증식하므로 자기 전에는 반드시 양치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