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
수도권 부동산시장이 과열징후를 보이면서 정부가 추가적인 규제를 꺼낼 가능성이 제기된다. 문재인정부는 대선공약 때부터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전월세상한제, 임대차계약 갱신청구권 도입 등의 부동산정책 방향을 밝혔다.
3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8개월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지난주 서울 재건축아파트값 상승률은 0.43%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이달 들어 9146건, 하루평균 약 304건이 거래됐다. 4월(260건)과 3월(215건)에 비해 급증한 수준이다. 분양권 거래 역시 이달 기준 1046건으로 4월(747건) 대비 크게 늘었다.
최근 서울의 아파트 모델하우스는 붐비는 방문객들로 인해 이런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강동구 '고덕 롯데캐슬베네루체'는 3일 동안 약 2만2000명이 다녀갔고 영등포구 '보라매 SK뷰'는 3일 동안 약 4만7000여명이 찾았다.
이에 따라 정부도 대비책을 내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28일 주택·부동산시장 불안 등의 리스크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박근혜정부 이전으로 낮추고 전체 부채한도를 줄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전매제한 강화,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과거에 시행했던 부동산규제가 단계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앞서 지난해 정부는 11·3 부동산대책을 통해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강남4구)의 전매제한 기한을 소유권 이전등기 시까지 정했다. 서울 나머지 지역은 전매제한 기간이 1년6개월이지만 강남4구 수준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TV·DTI 복귀와 DSR 조기 도입을 함께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외의 규제도 검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