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3월22일 인도 구르가온의 릴라 호텔에서 열린 삼성 페이 출시 행사에서 삼성 페이로 결제 시연을 하는 참관객들. /사진=뉴시스 |
11일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인도에서 판매된 스마트폰은 전년보다 14.8% 늘어난 2700만여대다. 인도 스마트폰시장은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18% 성장했다.
글로벌 스마트폰시장 성장률이 2~3%인 점을 감안하면 인도는 놓칠 수 없는 황금시장이다. 심지어 13억 인구 중 지난해 말 기준 스마트폰 보급률도 39%밖에 되지 않는다.
비슷한 인구의 중국 스마트폰 출고량은 5억대가 넘지만 인도는 스마트폰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 기준 1억910만대로 중국의 20%에 불과하다.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인도를 주목하는 이유다.
현재 인도 스마트폰시장의 패권은 삼성이 쥐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에 따르면 삼성은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시장에서 점유율 24.8%로 1위를 기록했다.
삼성은 보다 적극적으로 인도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주 노이다 지역 12만㎡ 용지에 운영 중인 공장을 24만㎡로 확장해 생산 규모를 2배로 늘린다. 투자 규모는 총 400억 루피(약 7000억원)다. 노이다 공장의 휴대전화 생산능력은 현재 월 500만대로, 증설이 완료되면 1000만대로 늘어나게 된다.
애플은 지난 5월부터 대만 제조업체인 위스트론의 인도 벵갈루루 공장에서 아이폰SE를 위탁 생산하고 있다. 애플이 인도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건 인도정부가 현지 생산부품을 30% 이상 사용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선 관세를 무겁게 매겨서다. 스마트폰 완제품에 부과되는 수입관세 12.5%가 빠지면 아이폰도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인도는 중국과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며 “글로벌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13억 인구를 지닌 인도 마켓 공략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