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이 31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2회 제주포럼에 참석해 '제주도, JDC, 제주지역사회의 협력모델 모색'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우장호 기자 |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국 정부는 미-한 군사연합훈련과 한반도에 배치된 미국의 전략무기 축소를 미국과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 특보는 사드(THAD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가 미뤄지는 것은 미국이 한국의 법적 절차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없다고 밝혔다.
미국의소리(VOA) 보도에 따르면 문정인 특보는 16일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우드로윌슨센터와 한국 동아시아재단이 공동 개최한 행사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은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으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할 경우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규모를 줄이는 방안을 미국과 협의할 수 있다는 점이 그 첫 번째 제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 배치된 미국의 전략자산 무기 역시 축소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문 특보는 문 대통령의 두 번째 방안은 북한의 비핵화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연결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행한 연설에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사드와 관련해 “미군은 한국 법 위에 있을 수 없고 한국 대통령 또한 한국 법 위에 있을 수 없다”며 법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