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 직후 기자 간담회를 열고 "바닷모래는 국가의 자산이고 국민의 자산이다. 손쉬운 경제 (논리)가 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확고한 신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장 생태계에 관한 제대로 된 과학적 조사 없이 마구잡이로 바닷속을 파헤치고, 그것이 국책 사업이라서 어쩔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바다는 주인 없는 무주공산의 영역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바다를 바탕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어민들이 있다"며 "바닷속 생태계가 한번 파괴되면 복구하는데 수백년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학적 조사를 통해 채취가 가능한 (모래의) 양을 공적 사업에 허용할 수는 있겠다"면서도 "김 장관이 취임하면 즉각적으로 이를 협의하겠다. 김 장관은 이런 취지를 공감해주는 분이라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건설업계가 바닷모래 채취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며 "해외 선진국들 가운데 바닷모래에 이렇게 많이 의존하는 나라가 없다. 선진국은 다른 모래 공급선을 확보해서 바닷모래 의존량을 줄여왔다. 우리도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해수부는 지난 2월27일 국토부의 남해 바닷모래 채취 연장 신청에 대해 요구량의 절반 수준인 650만㎥를 다음해 2월28일까지 1년간 채취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어민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며 지난 3월 전국 연안, 항·포구, 남해 골재채취단지 해상에서 91개 수협 소속 어선 4만여척을 동원해 대규모 시위를 진행했다. 이후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바닷모래 채취는 중단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