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가 20일 열린 '제4회 머니톡콘서트'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가 “문재인정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투자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20일 재테크전문 경제주간지 <머니S>가 주최한 ‘제4회 머니톡콘서트’에서 ‘새정부의 부동산시장 정책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권 교수는 “부동산시장은 지금 활황기를 지나는데 도시재생사업은 정부 규제를 피할 수 있는 틈새시장”이라고 말했다.
문재인정부가 추진 중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내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정에 따라 2~3가구도 정비가 가능해진다. 기존 대규모 개발사업의 시대가 가고 환경정비, 마을만들기 등 소규모 정비사업의 시대가 오는 것. 권 교수는 “공사비를 감당할 수 있으면 2~3가구를 정비해 3~4층짜리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상가주택 등을 짓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권 교수는 문재인정부의 6·19 부동산대책과 관련 “강도 높은 규제임은 분명하지만 정부가 경제의 상승흐름을 꺾고 싶지 않은 복안이 있다”며 “앞으로 강도가 더 강해질 수 있고 오는 8월 가계부채대책 이후 시장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채무상환비율(DSR) 도입 이후 부동산시장은 살아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권 교수의 전망이다. DSR은 신용대출뿐 아니라 카드대출, 마이너스통장 등 모든 부채금액을 적용해 대출한도를 규제하는 만큼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규제뿐 아니라 시장환경 역시 부정적이다.
권 교수는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집은 늘고 있다”며 “자가주택 보유율은 약 60%, 또 집이 없는 40% 중 절반은 집을 사기 어려운 중산층 이하라 정부는 임대주택 공급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은 아파트에 집중돼 있는데 아파트시장이 저물어가지 않나 생각한다”며 “당분간은 아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울 재건축시장에 대해서 권 교수는 “올해 가을 철거로 인한 이주물량이 2만가구 발생해 공급부족이 우려된다”며 “반면 포항·울산 등은 부동산시장이 2~3년째 하락하고 있어 서울과 지방의 지역별 맞춤형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