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文대통령 사드 환경영향평가.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받는 것이 배치 연기나 결정 번복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사드 배치 결정은 이전 정권에서 이뤄졌다. 나는 (4기 발사대 배치 완료) 결정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며 "환경영향평가를 포함한 절차적 정당성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평양에 방문해 김정은을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던 것과 관련 "조건이 맞다면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역시 조건이 제대로 갖춰지면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는 (남북 대화가) 정확히 어떻게 추진될지 세부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사드 배치 결정은 이전 정권에서 이뤄졌다. 나는 (4기 발사대 배치 완료) 결정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며 "환경영향평가를 포함한 절차적 정당성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평양에 방문해 김정은을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던 것과 관련 "조건이 맞다면 여전히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역시 조건이 제대로 갖춰지면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는 (남북 대화가) 정확히 어떻게 추진될지 세부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기반으로 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한가지 강조하고 싶은 것이 있다. 한국이 이 과정에서 보다 크고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때 남북관계는 보다 평화롭고 북미간 긴장도 덜했다"고 역설했다.
그는 "지난 오바마 행정부 때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추진했지만 북한과의 관계 개선 노력은 없었다. 한국정부 또한 그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며 "그 결과가 오늘날 미국이 목도한 북한이 계속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오바마 행정부 때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추진했지만 북한과의 관계 개선 노력은 없었다. 한국정부 또한 그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며 "그 결과가 오늘날 미국이 목도한 북한이 계속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현재 우리는 북한 핵을 동결시켜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기술 발전을 막을 것을 촉구한다"며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에 대한 2단계 접근법을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