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가구 수 및 부채현황/자료=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위험가구 수는 2016년 126만3000가구로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186조7000억원으로 총 금융부채의 21.1%에 달한다. 고위험가구의 경우 2016년 현재 전체의 2.9%인 31만5000가구가 62.0조원(7.0%)의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위험가구는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원리금 상환비율(DSR)과 총부채/자산평가액(DTA)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고위험가구는 위험가구 중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능력도 취약(DTA>100%)한 가구다.
금리 상승시 채무상환능력 변동 폭을 살펴보면 대출금리가 각각 0.50%포인트, 1.00%포인트 , 1.50%포인트 상승하는 경우 고위험가구는 2016년보다 각각 8000가구, 2만5000가구, 6만 가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지난해 보다 각각 4조7000억원, 9조2000억원 및 14조6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측은 "대출금리가 소폭 상승하는 경우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정도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그러나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고위험 가구 수 및 부채가 비교적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