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대표 경제정책이었던 ‘창조경제’가 빠르게 자취를 감추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창조경제 지우기 행보에 재계도 보조를 맞추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주요 대기업이 전국 18개 지역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어 추진하던 창조경제가 조만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주요 대기업이 발간한 경영보고서에서 창조경제라는 단어가 사라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활동을 추진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그래픽=뉴시스
/그래픽=뉴시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구미시에 각각 1곳, 총 2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는 삼성전자는 지난해 발간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에 스마트공장, 특허 공유 등의 사례로 창조경제센터 활동내역을 자세히 소개했다. 그러나 최근 출시한 2017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에선 창조경제라는 단어를 아예 언급하지 않았다.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는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발간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에 “정부 주도 하에 추진 중인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충북창조경제지원센터에 협력사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지만 올해 발간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에선 창조경제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는 현대자동차 역시 지난해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에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라는 단어를 6차례 사용하며 활동내역을 자세히 소개했지만 올해 보고서에선 2차례만 사용하며 간략히 언급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육성이라는 목적을 갖고 만들어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새로운 정권의 운영 방침 변화에 따라 역할이 바뀌는 과정에서 대기업의 지원이 줄거나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박근혜정부가 제시한 창조경제 비전이 박근혜 전 대통령 측근들의 사익 추구를 위한 정책이었다는 게 드러났고 정권도 교체된 상황에서 그 단어를 다시 꺼낼 이유가 없다”며 “당분간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은 계속 하겠지만 새정부가 센터 운영 방향에 변화를 주면 기업의 역할도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운영하는 한 대기업 관계자는 “전임 정부의 방침에 따라 만들어진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기업의 역할은 다했다”며 “새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활용 방안을 지켜보며 새로운 역할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