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문재인 대통령과의 간담회(27~28)를 앞두고 너도나도 정부정책에 동참하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가장 먼저 두산그룹이 비정규직 정규직화 방안을 발표한데 이어 SK그룹도 2·3차 협렵업체와의 상생강화안을 내놨다. 이번 간담회의 주요 의제(일자리 창출·상생협력)에 부합하는 방안을 일부 대기업이 선제적으로 내놓으며 다른 대기업도 이런 흐름을 거스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두산과 두산인프라코어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고용 안정과 협력·용역·도급업체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 방안을 담은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협력·용역·도급업체 근로자 임금 치 복리후생 증진방안’을 발표했다.


양사 소속 450여명 규모의 계약·파견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과 협력업체·영세사내하도급업체 근로자, 저임금 용역·도급근로자 등에 대한 임금 및 복리후생 지원이 골자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선정한 새정부의 경제정책 방향과 일치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헤이 아담스 호텔에서 열린 방미 참여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참석자들과 환담을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헤이 아담스 호텔에서 열린 방미 참여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참석자들과 환담을 나누고 있는 모습. /사진=청와대

SK는 지난 25일 2·3차 협력업체와의 상생강화를 위해 협력사 지원펀드를 16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존에 4800억원 규모로 운영 중이던 동반성장펀드를 1400억원 증액해 62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한 협력사대금결제 방식을 개선하고 협력사 직원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복리후생 지원폭을 확대하기로 했다. SK그룹 관계자는 “동반성장과 상생협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사회와 함께 하는 SK의 핵심 개념일 뿐 아니라 SK그룹의 본질적 경쟁력도 함께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며 “앞으로도 동반성장·상생협력을 이뤄나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 서열 1위 삼성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3년 이상 병상에 누워있는 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돼 재판을 받는 중이라 새로운 방안을 내놓기보다는 기존에 해오던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강화하고 하반기 정규직 신규 채용규모를 늘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대자동차는 ▲경영 개선 ▲경쟁력 강화 ▲해외 진출 ▲고용 지원 등 2·3차 협력사 지원 방안과 1차-2·3차 협력사간 상생협력 관리체계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선순환형 동반성장 5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LG·롯데·포스코 등 문 대통령과의 간담회에 참석하는 다른 그룹들도 조만간 상생대책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15대 그룹을 초청해 진행하는 간담회에 재계 순위는 낮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낮은 오뚜기가 포함되며 간담회 참석 기업들이 더욱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새정부가 이제 막 출범한 데다 지지율도 높아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정부정책에 동참하는 방안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