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여성공무원.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br />
지자체 여성공무원.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은 지난해 말 기준 10만6012명으로 지난 20년 새 약 2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6일 발간한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 책자에 따르면 지자체 여성 공무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10만6012명으로 1995년 5만4472명과 비교해 약 2배 정도 증가했다.

이 중 4급 이상 관리자는 1995년 30명(1.2%)에서 2016년 268명(7.8%)으로 238명(6.6%포인트) 증가했다. 5급 이상 여성 관리자는 1995년 604명(3.6%)에서 2016년 2775명(12.6%)으로 2171명(9.0%포인트)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자체 내 기획·예산·인사·감사 등 실국 주무과 여성 비율도 2011년 11.6%에서 2016년 37.4%까지 증가했다.

7급 공채 여성 합격자 비율은 전체 37%를 차지했다. 9급의 경우 2005년 여성 합격자가 처음 50%를 돌파한 이후 2016년 58.2%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공채 시험의 여성 강세로 인해 지난해 한 해 동안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따라 추가 합격한 공무원은 남성이 156명, 여성 61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양성평등채용목표제는 여성 또는 남성이 시험 실시 단계별로 선발 예정 인원의 30%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선발 예정 인원을 초과해 합격시킬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시도별로는 부산시(38.9%), 서울시(37.9%), 경기도(37.2%) 순으로 여성 공무원 비율이 높았으며 강원도(30.4%), 충남도(31.5%) 순으로 여성 공무원 비율이 낮았다.

또한 지방공무원 육아휴직자 수는 8458명으로 10년 전인 2006년(1826명)에 비해 약 4배 이상 증가했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2006년 95명에서 2016년 900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윤종진 행안부 자치분권정책관은 "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육아를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인사 제도로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