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세계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된 동아운수 소속 151번 버스에 탑승해 소녀상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서울시 제공)
박원순 서울시장이 세계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된 동아운수 소속 151번 버스에 탑승해 소녀상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서울시 제공)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오전 운행을 시작한 '소녀상 버스'에 탑승하고 국민이 납득하는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다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평화의 소녀상 제작자인 김운성 작가와 임진욱 동아운수 대표는 서울 버스 151번 5대 일반 좌석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렸다.

박 시장은 이날 '소녀상 버스'를 환영했다. 시민들이 평화의 소녀상을 보면서 일본군 위안부로 희생된 분들을 기릴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과거 일본군 위안부 합의는 국민 정서상 수용되고 납득될 수 없었다"며 "우리 국민들이 정서상으로 납득할 수 있는 새로운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평화의 소녀상이라는 것이 막는다고 막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한국뿐 아니라 일본으로부터 피해를 본 주변국들과의 과거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이런 일은 전 세계로 퍼져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박 시장은 서울시는 제대로 된 과거 청산을 위해 이제까지 예산을 투입하는 등의 노력을 해왔으며 이 같은 지원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일 관계 악화 우려에 대해서는 "평화를 바라는 다수의 일본 국민들도 있다"며 "이들은 위안부 문제 등 전쟁 피해에 대한 충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 위안부 기림일인 이날 시작된 '소녀상 버스' 운행은 다음달 30일까지 이어진다. 주한 일본대사관과 가까운 안국동 구간을 지날 때는 안내 방송과 영화 '귀향'의 OST가 방송된다.

'소녀상 버스' 운행이 끝나면 버스에 설치됐던 평화의 소녀상은 추석 연휴 전국 각지에 세워진 다른 소녀상 옆 빈 의자로 옮겨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