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원 출신 경영전문가 30명이 전경련 경영자문단 신규위원으로 영입됐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는 31일 오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국내 주요그룹 CEO 및 임원 출신 경영베테랑 30명을 신규위원으로 위촉했다.
이로써 전경련경영자문단은 2004년 출범당시 40명에서 5배인 200여명으로 크게 늘어 국내 최대 경영재능기부단으로 자리매김했다.
![]() |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 전경. /사진=뉴시스 |
무보수·무료재능기부 임에도 올해 총 72명이 경영자문단 모집에 지원해 2.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신규로 영입된 위원들의 평균연령은 58세로 기존 자문위원(63세)보다 5세가량 젊어졌다. 자문수요가 많은 경영혁신(11명), 국내외 마케팅(9명), 신기술개발(6명)분야 업력과 경험을 지닌 인사들이 많이 충원돼 중소기업과 창업자들의 사업구조 조정, 국내외 판로개척, 기술아이디어 사업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권태신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이사장은 “인생 1막 때 대기업 생산현장과 수출전선에서 체득한 비즈니스 성공 노하우를 중소기업 및 창업자들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커 가는데 적극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에 가입한 김상무 위원(전 삼성전자 전무)은 “30여년간 현업에서 쌓은 혁신기법과 위기관리 노하우를 후배 기업인들에게 적극 전수해 주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권기일 위원(전 LG전자 상무)은 “독일·영국·미국·파나마 등 해외시장에서 축적한 수출, 투자 관련 암묵지가 나의 귀중한 자산”이라며 “글로벌시장 진출을 꿈꾸는 중소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만우 위원(전 SK그룹 부사장)은 “대기업 홍보책임자로 쌓은 언론 네트워킹과 기업이미지 관리 노하우를 전수해 중소기업들이 1인 미디어와 SNS 활용을 통한 경쟁력 향상에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신규로 영입된 경영자문단 위원들은 코칭스킬 등 자문역량 강화 교육을 마치고 9월 중순부터 중소기업 현장을 찾아가 경영자문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