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달 5일(현지시간) 북한의 수출을 10억달러 이상 감축하는 강력한 새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머니투데이
안보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달 5일(현지시간) 북한의 수출을 10억달러 이상 감축하는 강력한 새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머니투데이

미국이 이르면 11일(현지시간) 북한의 제6차 핵실험에 대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신규 대북 제재 결의를 시도한다.
북한 외무성은 대북 결의안 표결이 예상된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이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제재를 진행한다면 그에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그 어떤 최후 수단도 불사할 준비가 다 돼 있다"고 반발했다.

북한은 지난 3일 제6차 핵실험 이후 미국 주도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움직임이 본격화하자 여러 경로를 통해 이에 대한 반발과 위협 분위기를 조성해 오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5일 조선중앙통신과의 문답에서 "대륙간탄도로켓(ICBM) 장착용 수소탄시험은 우리가 선택한 병진의 길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정상적인 공정"이라며 "미국의 날강도 같은 제재 압박 책동에 우리는 우리 식의 대응방식으로 대답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한대성 스위스 제네바 대표부 주재 북한 대사도 같은 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군축회의에서 "최근 내 나라 북한의 자주국방 조치는 다른 누구도 아닌 미국에 주는 선물"이라며 "무분별한 도발과 북한에 압력을 가하려는 헛된 시도가 계속되는 한 미국은 우리로부터 더 많은 선물을 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 대북 결의안 초안에는 북한을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킬 방안이 총망라돼 원안 그대로 채택되면 북한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결의안에는 대북 원유 수출 금지, 해외 노동자 송출 중단, 북한산 섬유 제품 수입 금지 등 실질적인 조치는 물론 김정은 해외 자산 동결 등 상징적인 조치도 포함됐다.


다만 현재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하고 있어 원안보다는 절충안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의 물밑 협상에서는 단계적 대북 원유 수출 금지 등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절충안이라고 해도 이번 대북 결의안은 여전히 북한 경제에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돼 북한이 어떤 식으로든 반발할 전망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구구절) 자축 행사를 통해 내부 결속에 주력하며 핵 무력 지속 개발 의지를 피력하는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보인다"며 "외무부 성명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앞두고 이에 대한 경고와 추가도발의 명분을 축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