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김관진 출국금지. 사진은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사진=뉴시스
김관진. 김관진 출국금지. 사진은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사진=뉴시스

검찰이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을 출국금지했다. 이명박정부 시절 군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공작 의혹과 관련해서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27일 김 전 장관을 출국금지하고 소환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김 전 장관은 19대 총선과 18대 대선 등을 앞두고 이명박정부를 비판하는 글에 적극 대응하라는 지침이 담긴 것으로 알려진 '2012 사이버사 작전 지침' 문건을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김 전 장관은 2013년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사이버사에 대한 질문을 한 의원으로부터 받고 "댓글 작업을 알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김 전 장관은 이 같은 의혹으로 2013년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됐지만, 장관을 지낸 후 청와대 안보실장으로 옮기면서 그에 대한 검찰 수사는 지지부진했다.

검찰은 최근 사이버사에 대한 자료와 옥도경 전 사이버사령관과 이태하 전 530심리전단장의 녹취록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김 전 장관의 가담 정도가 작지 않아 그를 수사 대상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녹취록에는 옥 전 사령관이 '댓글 사건'으로 재판에 넘겨질 위기에 처하자 '김 전 장관의 지시로 한 일인데 왜 자신과 부하들이 책임져야 하는가'라며 불만을 터뜨리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사이버사 수사와 관련해 이 전 심리전단장과 김기현 전 530심리전단 총괄계획과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아울러 김 전 장관에게 댓글 공작을 보고한 의혹을 받는 연제욱 전 청와대 국방비서관(전 사이버사령관)과 옥 전 사이버사령관을 비공개로 소환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과장과 두 전직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댓글 공작 진행 상황 등을 김 전 장관 등에게 보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의 최고 책임자였던 원세훈 전 원장과 김 전 장관이 동시에 수사 선상에 오르면서 이들보다 윗선인 이명박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