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구치소 독방에서 인권침해를 당했다는 주장을 제기해 논란이다. /자료사진=뉴스1 |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 독방에서 인권침해를 당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한 구치소 수감 경험자가 해당 독방이 원래 6명이 쓰던 방이라며 박 전 대통령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2015년 서울구초시 여성사동 수감경험자라고 밝힌 익명의 여성 A씨는 1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A씨는 2015년 상반기 6개월 정도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경험이 있었다고 밝히며, 박 전 대통령의 독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제가 수용돼 있었던 공간하고는 되게 다른 공간인데 3평이 넘고 5, 6명이 함께 생활하는 혼거실 같은 경우에는 운동장으로 나가는 방향에 주로 위치를 해 있어서 지나가면서 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일반 재소자들이 경제사범은 경제사범들끼리 마약사범은 마약사범들끼리 이렇게 모아놓는 일반적인 방이었다. 그런데 그것을 적게는 4명, 많게는 6, 7명까지 사용하는 방이었다”고 덧붙였다.
A씨는 “사물함 같은 것들이 있고 방 안에서 자기가 먹은 것 설거지해야 되기 때문에 설거지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변기가 있는 공간 정도가 있었다”고 내부 시설을 설명했다.
사회자가 ‘6명이 묵기에는 좁겠다는 생각을 했느냐’고 묻자, A씨는 “그 방에 6명이 묵는다면 그것이야말로 인권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그 정도 방에서 혼자 사용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이 국제 법률 컨설팅 업체를 통해 인권침해 주장을 한 데 대해서는, “그렇게 주장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라며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박 전 대통령 측이 매트리스 문제, 야간소등 문제를 지적한 데 대해서도, “다른 재소자들 같은 경우에는 그런 매트리스를 깔 만한 공간조차 확보가 되지 않는 곳이다. 그걸 깔 만큼 한 사람 앞에 평균 0.5평 이 정도를 사용한다고 봐야 되기 때문에 그 정도를 깔 만큼의 자리가 확보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그렇게 넓은 방을 혼자 사용한다는 것, 그리고 치료가 굉장히 어렵다고 했는데 그보다 훨씬 중증 환자들도 많이 있다. 혈압이라든지 암 환자까지도 있고 이런 환자들도 사실은 외부 병원에 나가서 치료받는 게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고 주장했다.
A씨는 “수용되어 있는 기간 동안 한 번도 외부병원을 가지 않는 재소자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지난번에 치료 받으러 나갈 때 들어갈 때 모습이나 이런 것들 언론에서 봤는데 굉장히 특혜”라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