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PGA투어 정규대회 THE CJ CUP @ NINE BRIDGES(이하 더 CJ컵)가 전세계에 한국문화와 브랜드를 확산하는 글로벌 스포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며 ‘글로벌 CJ’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CJ그룹은 지난 19일부터 나흘간 개최된 더 CJ컵이 평일에도 5000~6000명의 관객이 몰리며 총 3만5000여명이 찾았다고 23일 밝혔다.


아침 일찍부터 대회장을 찾은 갤러리들은 세계적인 선수들의 경기를 눈앞에서 감상하고 다양한 한식메뉴와 엑스포에 마련된 골프용품, 화장품 등 한국의 브랜드를 체험하며 세계적 스포츠 축제를 즐겼다.

전세계 227개국 10억가구에 방송된 이번 대회를 통해 CJ그룹은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대회기간 동안 현장에 머물며 PGA 관계자들과 함께 대회를 직접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더 CJ컵 결승전을 보기 위해 모인 수많은 갤러리들이 저스틴 토머스의 경기를 관전하고 있다. /사진=JNA 골프
더 CJ컵 결승전을 보기 위해 모인 수많은 갤러리들이 저스틴 토머스의 경기를 관전하고 있다. /사진=JNA 골프

특히 이 회장은 전세계로 중계된 방송에 깜짝 등장해 CJ그룹의 비전과 CSV(공유가치창출)활동을 소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2라운드 방송 중간 등장한 이 회장은 “기업이 사회공헌을 통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예를 들어 CJ대한통운의 실버택배를 통해 2017년 포춘지 선정 ‘세상을 바꾸는 혁신기업 50’의 하나로 CJ가 뽑힌 데 대해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또 결승전 중간 방송된 인터뷰에서는 “CJ그룹은 식품·생명공학·물류·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사업 확장을 통해 글로벌 생활문화기업으로 성장해왔다”며 “앞으로 글로벌사업 범위를 더욱 확장해 전세계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이끌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더 CJ컵은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K-컬처를 확산시키는 ‘스포츠·문화 플랫폼’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회 메인 스폰서인 글로벌 한식브랜드 비비고 부스는 대회기간 동안 준비한 2만그릇의 메뉴를 모두 판매하며 갤러리들의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더 CJ컵 한정메뉴인 ‘전복김밥’은 갤러리들 사이에서 맛있다는 입소문이 나며 준비한 물량이 매일 오전 완판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대회 개막 직전인 지난 17일 진행된 ‘비비고 갈라디너’에서는 해외선수들과 PGA투어 관계자들에게 궁중음식을 제공해 한식의 맛과 멋을 즐기도록 했다. 또 19일부터는 한식의 건강함과 비비고의 편리성을 강조한 ‘한식을 즐겨라’ TV 광고를 론칭해 미국 전역을 비롯한 전세계 84개국에 방송했다.

제이 모나한 PGA 투어 커미셔너는 “이번 대회를 통해 한국의 음식, 엔터테인먼트, 음악, 역사 등에 대해 많이 알 수 있었다”며 “앞으로 10년간 대회가 진행되기 때문에 비비고와 한식을 전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회에 참가한 국내 골프 업체들의 성과도 돋보였다. 토종 골프브랜드 JDX는 준비한 모자 제품이 대회 첫날 완판되고 패딩 제품도 물량이 부족해 서울에서 제품을 공수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김길웅 JDX 마케팅팀 이사는 “더 CJ컵을 통해 국내에서도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고 미국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며 “내년 상반기 미국에 2개 매장을 오픈하며 해외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회 MD상품을 독점 판매한 골프 액세서리업체 화이트볼도 제품 판매와 함께 브랜드 알리기에 적극 나섰다. 박귀근 화이트볼 마케팅팀장은 “브랜드를 알릴 기회가 많지 않은데 세계적인 대회에 참여해 홍보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대회 운영을 총괄한 경욱호 CJ 마케팅실 부사장은 “국내 최초 PGA투어 정규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된 점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10년간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한국 남자골프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생활문화기업 CJ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더 CJ컵은 이번 시즌을 시작으로 앞으로 10년간 국내에서 개최된다. 대회 총상금은 미화 925만달러로 CJ그룹은 성공적인 대회운영을 위해 매년 25만달러씩 상금을 증액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