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층간소음 경보시스템 개요. /사진=LH
IoT 층간소음 경보시스템 개요. /사진=LH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동주택 거주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층간소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는 스마트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층간소음 문제는 공동주택 세대간 분쟁의 주요 원인으로 사소한 갈등을 넘어 방화, 폭행 등 범죄로 이어져 사회적 문제로 인식된다. 층간소음 예방과 그에 따른 분쟁해결을 위한 공공‧민간부문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후 현장소음측정 서비스 체계에서는 발생 당시의 상황 재현이 어려워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물리적인 공간, 사람, 시간의 문제를 사이버 공간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게 된다. 이 중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중 하나가 개인 맞춤형 스마트홈 서비스이다.


LH에서 추진하는 층간소음 경보시스템은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모든 층에서 감시하고 소음 임계치 이상의 데이터를 가상공간에서 자동으로 저장·분석해 스마트폰, 월패드 등을 통한 층간소음 발생 경고알림을 세대에 전송하는 기술이다.

LH는 층간소음 경보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IoT 층간소음 측정기 개발, 공동주택 대상 소음레벨 분석, 데이터 전송 기술 등 전문 기술역량이 요구되는 점을 감안해 사내 정보통신기술(ICT)실무부서(주택시설처), 연구부서(LHI) 및 전문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시스템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LH는 그동안 정량적인 소음측정 데이터가 없어 층간소음이 세대 간 마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이번 시스템 개발로 실시간 층간소음 데이터 기반 구축이 가능해져 서로 주의하고 배려하는 건전한 공동주택 문화를 조성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