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1호'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사퇴했다. 지난 2일 우리은행은 이 행장이 '2016년 신입행원 채용' 논란에 대해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임한다고 밝혔다. 그가 지난 3월 '임기 2기'를 시작한지 8개월 만이다.
이 행장은 신입행원 채용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 행장 임기 안에 채용비리가 불거진 만큼 검찰의 참고인 조사가 불가피해서다.
지난달 16일 국정감사에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우리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신입행원 150명을 공채하면서 16명을 금융감독원이나 국가정보원, 은행 주요 고객의 자녀와 친인척, 지인으로 특혜 채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 |
이광구 우리은행 은행장. /사진제공=우리은행 |
이에 우리은행은 채용비리에 연루된 남기명 국내부문장과 검사실장, 영업본부장 등 3명을 보직 해임했으며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의 자체감찰 결과를 받아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자료를 기반으로 수사에 나설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이 행장의 사임에 당혹해 하고 있다. 그가 민영화 성공, 실적향상 등 높은 성과를 기록한 만큼 갑작스런 사퇴가 아쉽다는 평가다.
반면 한일-상업은행의 파벌갈등을 해결하지 못한 과오가 이 행장의 발목을 잡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은행은 1999년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합병해 한빛은행(우리은행 전신)으로 출범한 지 19년이 됐지만 여전히 계파갈등이 심각한 상태다. 내부에선 상업은행 출신인 이순우 전 행장에 이어 이 행장까지 수장에 올라 한일은행 출신의 불만이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외부에선 이 행장이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 소속으로 친박 꼬리표를 떼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부가 정권철학으로 인사적폐를 내세운 만큼 이 행장이 친박 솎아내기 대상에 지목됐다는 얘기다.
우리은행의 악재는 이 행장의 사임만 있는게 아니다. 완전한 민영화는 물론 금융지주 전환도 어려워 보인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13호(2017년 11월8~14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