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알바천국 |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26일부터 11월 4일까지 편의점 알바 경험이 있는 알바생 14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설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2.9%가 편의점 시재 점검 시 정산 금액이 부족했던 적 “있다”고 답했다.
정산 금액 부족 시 대처 방법으로는 “부족한 금액을 그 자리에서 사비로 충당(52.5%)”과 “월급 에서 차감(16.3%)”이 가장 많았다.
반면 “고용주가 부족한 금액을 대신해 충당함”, “고용주에게 부족한 금액을 우선 요구”한다는 답변은 각각 16.3%, 5.9%에 불과했다. 이어 “기타” 답변은 8.9%를 차지했다.
근로기준법상 정산 금액 부족 시 알바생이 사비로 부족한 금액을 충당하거나, 알바생 월급에서 부족한 금액이 차감되는 행위는 임금체불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알바생은 단 28%에 불과했다.
또 편의점 아르바이트 근무 중 최저임금(6,470원)도 받지 못한 알바생도 44.7%에 달했다.
편의점 알바생 87.5%는 ‘시재 점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했으며,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조금 받지만 이겨낼 수 있는 정도다(47.9%)”, “많이 받는 편이다(27.1%)”, “매우 심하게 받는 편이다(12.5%)” 순으로 답했다.
이어 “전혀 받지 않는다”, “기타” 응답자는 각각 9.8%, 2.7%에 그쳤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이 꼽은 가장 힘든 경험 1위는 “재고 정리, 진열, 요리 등 몸이 열개 라도 부족함을 느낄 때(23.8%)”였다.
기타 답변으로는 “정산 금액이 부족해 사비로 충당해야 할 때(18.9%)”, “폭언, 폭행 및 성희롱, 성폭행 등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느낄 때(18.4%)”, “식사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 대충 때울 때(15.7%)”, “화장실에 가지 못할 때(12.2%)”, “야간 알바 중 몸이 너무 피곤할 때(11%)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