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잡코리아 |
이에 따르면 그 결과 올 상반기 취준생 10명 중 7명의 꼴로 △중소기업(70.1%, 이하 응답률)에 지원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하 공기업)이 54.8%의 응답률을 얻어 취준생들의 지원 계획이 높았으며, △대기업 역시 52.6%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외국계기업에 지원하겠다는 응답도 38.4%로 나타났다.
만약 지원한 기업에 모두 합격한 경우 취준생들이 선택할 단 하나의 기업유형에서는 △공기업이 두각을 보였다. 지원기업에 모두 합격했을 때 최종 선택할 기업유형에서 △공기업이 40.2%의 비중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이는 2위를 차지한 △대기업(29.0%)보다 10%P 이상 높은 수치였다. △중소기업(17.5%)이나 △외국계기업(13.2%)을 선택하겠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대기업이 36.8%로 △공기업(35.8%)을 소폭 앞서고 있었다. 반면 여성의 경우 △공기업을 최종 선택하겠다는 응답이 42.8%로 △대기업(24.6%)의 두 배 가까이 높았다.
또한 '취업할 회사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선택하게 한 결과, ‘지원 기업에 모두 합격한 경우 최종 선택할 기업유형’에 따라 1위가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공기업을 최종 선택한다고 답한 취준생들은 △고용안정성(33.2%)을 취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다. 반면 ▲대기업을 희망하는 취준생은 △연봉수준(23.4%)을, ▲외국계 취업을 희망하는 취준생은 △복리후생(19.7%)을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다. 지원한 회사에 모두 합격하더라도 ▲중소기업에 취업하겠다고 선택한 취준생들이 취업할 기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조건은 △나의 성장 가능성(22.8%)이었다.
한편 연봉수준, 워라밸, 직무 등 세 가지 주요 조건이 취준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취준생들의 수용 여부도 물었다. 잡코리아 조사 결과 언급된 세 조건 중 ‘기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수용하고 입사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조건은 ‘연봉 수준’이었다. 연봉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33.7%로, ‘희망 직무(26.2%)’, ‘워라밸(18.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제시된 조건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거절하고 입사를 포기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조건은 ‘희망 직무’였다. 즉 조사에 참여한 취준생 중 22.0%가 ‘합격할 기업에서 담당할 직무가 희망 직무와 상이하다면 입사를 포기할 것’이라 밝힌 것. ‘워라밸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입사를 포기한다는 응답은 17.9%, ‘연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입사를 포기한다는 응답은 9.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