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2일부터 진행되는 국회 국정감사에 유통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이 줄줄이 증인 명단에 올랐다. 오는 21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국감에서는 골목상권 침해 문제와 가맹점 갑질 횡포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날 열리는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섬유유연제 문제를 다룬다. 발라카 니야지 P&G 대표가 증인으로, 차석용 LG생활건강 대표가 참고인으로 각각 채택됐다.
LG생활건강은 이 자리에서 미세플라스틱 저감 관련 우수 기업 사례로 소개될 전망이다. 다만 차 대표 대신 박선규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전무가 참석해 관련 기술개발 과정을 설명한다.

환경노동위원회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관련해 김철 SK케미칼 대표와 채동석 애경산업 대표, 박동석 옥시레킷벤키저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했으나 최종 증인 명단에선 빠졌다.


오는 4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선 전자담배 유해성 문제를 다룬다. 이와 관련 우재준 쥴랩스코리아 상무와 김정후 KT&G NGP개발실장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오는 7일 열리는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이번 증인 신청은 이명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요구했다. 롯데푸드가 충남 아산에 위치한 빙과업체 후로즌델리로부터 팥빙수 납품 관련 갑질을 했다는 이유에서다.

롯데푸드는 2004년부터 후로즌델리에서 ‘뉴팥빙수꽁꽁’을 납품받다가 2010년 후로즌델리가 정부 식품위생기준을 맞추지 못하자 거래를 중단했다. 2013년 파산한 후로즌델리는 롯데푸드의 거래 중단으로 약 1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면서 공정거래위원회에 거래상 지위남용 혐의로 신고했다. 롯데푸드가 2014년 7억원을 합의금으로 지급하면서 공정위 사건은 종결됐다.


롯데푸드는 해당 사건이 5년 전 마무리된 데다 계열사 이슈는 당사인 롯데푸드 경영진이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그룹 총수 대신 조경수 롯데푸드 사장이 출석하는 안을 조율하고 있다.

오는 8일에는 임영록 신세계프라퍼티 대표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증인으로 나서게 된다. 창원 스타필드가 입점하는 과정에서 지역상권을 침해했다는 이슈를 다룬다. 

이마트는 부산 연제구 이마트타운 지역상권 침해 이슈로 출석 요청을 받았다. 당초 이갑수 이마트 사장이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민영선 부사장으로 변경됐다. 대신 이 사장은 18일 열리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출석한다. 농어촌 상생협력기금 관련 민간 기업의 기부실적이 저조했다는 이유에서다.

조민수 코스트코코리아 대표도 중기부 증인 명단에 올랐다. 경기도 하남점 개점으로 골목상권을 침해했다는 논란을 빚고 있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은 대리점 물량 밀어내기 논란으로 중기부 증인 명단에 올랐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남양유업이 2013년 불거진 갑질 사태 이후에도 대리점에 제품 밀어내기와 장부조작 등 갑질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남양유업은 지난달 24일 해명자료를 통해 대리점 밀어내기와 장부조작 의혹 등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밖에 치킨 프랜차이즈 BHC는 최근 가맹점주협의회 간부들에 대한 무더기 계약해지를 이유로, 샌드위치 전문점 써브웨이는 가맹 해지 갑질 논란으로 공정거래위원회 국감 증인에 각각 채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