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홍대 상권.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 홍대 상권. /사진=김창성 기자
상가의 층별 분양가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29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 플랫폼 ‘상가의신’에 따르면 전국 분양상가의 층별 평균 분양가(3.3㎡당)를 분석한 결과 1층 상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약 3020만원(4773개 호실 대상)으로 조사됐다.

또 2층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약 1470만원(1960개 호실 대상), 3층은 약 1140만원(1001개 호실 대상)으로 나타났다.


2층은 1층의 3.3㎡당 분양가의 절반도 안 되는 약 48% 수준을 보였으며 금액적으로는 약 1550만원 낮았다. 또 3층의 3.3㎡당 분양가는 2층의 77% 수준으로 금액적으로는 2층보다 약 325만원 낮았다.

이는 ‘상가의신’에 등록된 2018년 중반기 이후 준공되거나 준공예정인 분양상가 344개 현장, 총 9155실 중 3층 이하 7734실을 대상으로 산출한 수치다.

1층은 유동인구의 진입이 용이해 다른 층에 비해 3.3㎡당 분양가가 높은 편이다. 또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3.3㎡당 분양가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분양상가를 비교해보면 1층 상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약 5206만원이며 2층은 약 3829만원으로 1층에 비해 73% 수준으로 형성돼 전국 통계대비 적은 차이를 보인다.

이길용 ‘상가의신’ 연구원은 “강남3구는 타 지역 대비 용지 가격이 높아 3.3㎡당 평균 분양가 또한 높게 책정돼 있어 1층과 2층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이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상가의신’에서 한국감정원의 ‘2019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 상가의 3.3㎡당 평균 임대료는 1층이 약 19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2층과 3층의 3.3㎡당 평균 임대료가 각각 약 8만2000원과 6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각각 1층 대비 약 43%, 34%의 수준으로 형성되며 분양가 편차와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강남 3구의 경우 1층의 3.3㎡당 평균 임대료는 약 24만원으로 서울시 3.3㎡당 평균 임대료와 약 5만원 차이가 났으며 2층과 3층은 각각 10만8000원과 8만7000원으로 1층에 비해 약 45%와 36%의 수준으로 형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