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까스 지현우 대표는 지난 28일, 제31기 맥세스 실무형 전문가과정 CEO특강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장사란 무엇인가? 어떤한 일을 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운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지 대표는 “미션을 통해 계획을 수립하고, 수익없는 반쪽짜리 강사가 아닌 수익을 내는 체계적인 가맹점 창출이 필요하다”라며 “가맹본부와 가맹점주가 공생하며 행복해질 수 있는 지속성장 가능 기업을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이다”라고 전했다.
감동까스는 지속가능하고 시스템화된 프로세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가맹사업이란 장사를 잘할수 있게 시스템을 구축해서 장사꾼을 만드는 장사학교 일종이라는게 지 대표의 철학이다.
감동까스가 추구하는 체인사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매장 유치를 쉽게 하고, 80%이상 완조리 형태로 납품해 인건비를 줄여주는데 주력하고 있다.
공정의 단순화와 맛의 일월화로 직원3명이서 6천만원 매출을 올릴수 있게 프랜차이즈 코어벨류를 만들어가고 있다.
지 대표는 "단순하게 로얄티를 얼마를 내는 것이 아닌, 메뉴1개를 팔아도 수익과 맛이 좋은 메뉴를 개발하는게 좋다. 사장은 무엇이든 할줄 알아야한다"고 강조했다.
![]() |
배달매장이 프랜차이즈로 적합할까.?
프랜차이즈 아이템은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고 있다. 지 대표는 "외시식장의 사이클이 짧아졌다. 홀매장의 형태는 기존컨셉에서 변화하기 힘들다"라며 "아이템은 3년주기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이에따른 컨셉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배달매장들은 잘 나가는 아이템을 선별해서 빠르게 대응하고 그에 따른 판매형태를 계절 혹은 시장변화에 따라 달라저야 한다는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지 대표는 "프랜차이즈 외식시장은 초등학생이 아닌 유치원생이 와도 창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라며 "가맹점주가 똑똑하면 가맹하지 않는다. 요리에 무지하거나 장사를 해본경험이 없는 분들이 많다. 그때문에 편하게 장사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