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 증원에 반발해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정부가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조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들의 복귀 움직임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4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 정지·취소와 같은 정부의 행정·사법조치 처분이 전공의들에게 주는 타격감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전직 대학병원 교수인 한 원로의사는 "후배(전공의) 몇 명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의사 그만둬도 그만'이라는 분위기가 꽤 퍼져 있다"고 걱정했다. 그는 "전공의들은 자유롭고 부유하게 자라온 MZ세대이지 않냐"며 "이참에 집안의 사업을 물려받거나 수능을 다시 치러 이공계 대학으로 진학하려 결심한 전공의도 있다"고 귀띔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100개 수련병원 기준 의료 현장에 복귀한 전공의는 총 565명으로 전체 1만3000명 대비 4.3%다.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는 8945명(71.8%)으로 정부가 제시한 복귀 데드라인(지난달 29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정부는 이날부터 미복귀한 전공의 확인을 위해 현장 점검을 실시해 법과 원칙에 따라 조치할 방침이다. 우선 2~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전공의들이 법적 처분을 받더라도 의료 현장에 복귀하지 않는다면 최대 4~5년간 전국적인 전공의 부족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