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확산하면서 의대협은 각급 의대와 동맹휴학을 강화하자는 메시지를 공유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확산하면서 의대협은 각급 의대와 동맹휴학을 강화하자는 메시지를 공유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단독] '3401명' 예상 외 신청에 격앙… 의대생들

의대 증원 신청 규모를 뉴스로 접한 의대생들이 긴급하게 움직이고 있다. 정부의 증원 목표치(2000명보다) 많다 훨씬 많은 3401명으로 최종 집계됐다는 소식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3일 임시총회서 만장일치로 의결한 '동맹휴학'의 고삐를 더 쥘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증원 규모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워온 의대협 비대위는 5일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주요 의대에 동맹휴학을 강화하자는 메시지를 긴급하게 공유하고 있다.


머니S 취재 결과 의대협 비대위는 이날 오후 주요 의대에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 3401명 증원신청이라는 뉴스가 떴는데 대부분의 서울권 의과대학은 10% 증원을 요청한 상황"이라면서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총장과 의과대학이 척을 진 상황으로 의과대학 학장들이 조만간 사퇴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상황을 공유했다.

이어 의대 학장이 사퇴하면 학내에서 의대생을 지켜줄 사람이 없다는 문제가 발행한다면서 "현재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다 같이 단결하여 1년 누워버리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0개 의과대학이 다 같이 휴학, 유급, 복귀를 함께하기로 한 것이 지난 회의에서 의결되었고 아무도 먼저 돌아갈 수 없다"고 동맹휴학의 뜻을 재확인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3일 기준으로 의대생 2명이 휴학을 신청해 지난달 19일 이후 전국 의대생 1만8793명의 74.6%에 해당하는 1만4029명이 휴학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동맹휴학에 대한 허가는 단 한 건도 없었다며 형식 요건을 갖춘 휴학신청은 5386건으로 전체 의대생의 28.7%로 집계됐다.

의대생들의 휴학신청에 따라 개강일이 연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형식 요건을 갖춘 휴학신청도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므로 허가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동맹휴학은 장기화 조짐을 보인다.

한편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일선 교수들도 사직 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삭발 투쟁에 나선 상황이다. 류세민 강원대 의과대학 학장(흉부외과 교수)과 유윤종 의학과장(이비인후과 교수) 등 교수들은 이날 오전 강원대 의과대학 앞에서 삭발식을 진행했다.

의대협의 이 같은 긴급 메시지에 대해 각급 의대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