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가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 재도전에 나서면서 1차 평가지표로 셔머테스트를 설정했다. 앞서 미국 VELOS-3 임상 3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이번 임상 설정이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한올바이오파마가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 재도전에 나서면서 1차 평가지표로 셔머테스트를 설정했다. 앞서 미국 VELOS-3 임상 3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이번 임상 설정이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한올바이오파마가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 재도전에 나서면서 새로운 임상 3상 연구에 돌입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물질명 탄파너셉트)의 세 번째 임상 3상 (VELOS-4)을 시작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탄파너셉트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미국 내 60개 안과병원에서 750명의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시험에 참가한 환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어 매일 2회씩 12주간 시험약과 대조약(탄파너셉트 0.25%, 1.0%)을 투약한 후 베이스라인 8주 대비 눈물 분비량 개선을 확인할 계획이다.

주 평가지표는 앞선 미국 VELOS-3 임상 3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던 셔머테스트다. 셔머테스트는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눈꺼풀 밑에 3cm 가량의 종이를 걸쳐 5분 간 적셔진 종이 길이를 측정하는 검사 방법이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 VELOS-3 임상에서 1차 평가지표인 각막중앙부손상개선(CCSS, Central Corneal Staining Score)과 안구건조감지수(EDS, Eye Dryness Score)를 달성하지 못했으나 2차 평가지표 중 하나였던 셔머테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확인했다.


사후 분석 결과에서도 10mm 이상의 개선을 보인 환자반응률 (탄파너셉트 13%, 위약 4%)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앞서 진행된 첫 번째 임상 3상 (VELOS-2)에서 동일한 환자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군의 사후 분석에서도 유의한 개선효과가 확인 됐다.

이번 임상에서 눈물 분비량 개선을 재현하게 된다면 안구건조증 치료제 허가의 문턱에 가까워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셔머테스트를 안구건조증 임상시험의 주요 지표로 인정하고 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VELOS-4 임상 탑라인 (top-line) 결과를 2025년 하반기 확보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지난 미국 VELOS-3 임상에서 확인했던 탄파너셉트의 눈물 분비량 개선을 이번 임상을 통해 재현하는 것이 목표"라며 "앞선 임상에서 얻은 경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능성을 좁혀 나가며 전 세계 환자들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치료제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