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인명을 해칠 수 있는 결정을 AI에게 맡겨도 되냐는 질문에 확답을 피했다. 사진은 올트먼 CEO의 모습. /사진=로이터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인명을 해칠 수 있는 결정을 AI에게 맡겨도 되냐는 질문에 확답을 피했다. 사진은 올트먼 CEO의 모습. /사진=로이터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한국이 AI에 대응을 맡겨도 되냐는 질문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올트먼 CEO는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에서 'AI 시대 지정학적 변화'를 주제로 개최된 화상 대담에 참석했다. 올트먼 CEO는 이날 "북한이 서울로 군 항공기 100대를 출격시킨 상황에서 한국은 AI가 통제하는 방어용 로봇으로 이를 요격하는 것이 가능할 때 AI에 인명을 해칠 수 있는 결정을 맡겨도 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이에 대해 "회색지대의 어느 지점에 선을 그어야 하느냐"고 반문하며 "따져봐야 할 질문이 많다"고 확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나는 누군가 핵무기 발사를 AI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들은 적이 없고 접근 중인 미사일을 요격할 때처럼 빠르게 결정해야 할 때 AI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 또한 들은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올트먼 CEO는 군사적 결정은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니라며 "오픈AI에서 이러한 결정을 하지 않아도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기술이 우리가 지지하지 않는 리더십을 가진 국가들만이 아닌 인류 전체에 이익이 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AI 기반 시설 확대에 대해서는 "미국만 AI 데이터센터를 지어야 한다는 주장은 통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나라들도 좋아하지 않을 것이고 나도 그럴 것"이라면서도 "미국이 주도하면서도 넓고 포괄적인 연합이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