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을 예년과 동일하게 오는 9월2일에 시행한다. 정부는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응시자들을 위해서라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의료계에서 추진하고 있는 '총파업 찬반 투표'에 대해서는 "갈등만 촉발할 뿐"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올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계획을 오늘(3일) 공고하고 9월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료법 시행령에 따르면 시험 시행계획은 90일 전까지 공고해야 한다.
정부는 현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일부 응시자들에 대한 신뢰를 보호하기 위해 예년과 동일한 시기에 시험을 시행할 방침이다. 조 장관은 "현재 많은 의대생이 수업을 거부하고 있어 정상적인 시기에 의사면허를 취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며 의대생들에 수업 복귀를 촉구했다.
전공의들에게도 복귀를 요청했다. 조 장관은 "의료 현장을 떠나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련 이수를 비롯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클 것"이라며 "이제는 집단행동을 멈추고 환자 곁으로 돌아와 교수님들과 함께 의료 개혁 논의에 참여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의료계의 집단 휴진 투표와 대학 총장 상대로 한 소송 제기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조 장관은 "집단휴진 투표를 실시하고 대학 총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끝없는 갈등과 대립만을 촉발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붕괴 위기에 있는 필수 의료와 지역의료에 대해 그동안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정부에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제라도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필수 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 의료계는 정부와 머리를 맞대고 힘을 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국민들의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조 장관에 따르면 응급실의 경증 환자 수는 전공의 집단행동 이전인 지난 2월 첫 주 약 8200명에서 지난 4월 첫 주 약 6400명으로 감소했으나 지난달 4주에는 약 700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중증·응급 환자 진료를 중심으로 비상 진료가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경증 환자분들께서는 응급실 이용을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정부는 오는 5일 필수의료·공정보상 전문위원회, 7일에는 의료인력 전문위원회가 회의를 열고 의료 개혁 과제를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