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팝 업계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불법 합성물 '딥페이크'(deepfake)로 인한 피해가 확산하면서 이에 대한 강력한 법적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트와이스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는 30일 자사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영상물이 인터넷상에 퍼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명백한 불법 행위"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JYP는 현재 관련 자료를 수집 중이며, 법무법인과 함께 법적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속사는 "아티스트의 권익을 침해하는 모든 행위를 절대 좌시하지 않고 끝까지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그룹 아이즈원의 전 멤버 권은비도 이미 딥페이크와 관련된 법적 조치를 취한 상태다. 아울러 브레이브 걸스 출신 유정 역시 딥페이크로 인한 음란물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딥페이크는 '딥 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AI 기반의 이미지 합성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다. 특히 연예인은 많은 사진이 온라인에 공개돼 있어 딥페이크 피해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딥페이크 성 착취물의 피해자 중 절반 이상이 한국인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어 더욱 강력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올해 초 미국의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을 딥페이크로 합성한 가짜 음란물이 온라인에 퍼지면서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딥페이크 피해가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피해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