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공업용ㅇ수 수요량 및 부족량 예측 개념도. 자료제공=경기연구원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공업용ㅇ수 수요량 및 부족량 예측 개념도. 자료제공=경기연구원

경기도 개발사업으로 인한 팔당상수원의 가용 수자원량 부족으로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등의 용수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한강에 이용가능한 물이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용인시에 조성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의 공업용수 수요는 하루 170만㎥에 달하지만 현재 공급 가능한 수자원량은 50% 미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5년을 기준으로 수도권 핵심 용수공급원인 팔당댐과 상류 지역의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하루 65만㎥ 정도로 예상된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위한 공업용수 수요량에는 턱없이 부족할 수량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발전 전용 댐인 화천댐을 다목적댐으로 전환해 용수를 공급할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화천댐의 다목적화는 유입 유량이 북한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서는 북한과의 원활한 협력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면 잠재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또한 절대적 생산량이 경쟁력인 반도체산업 특성 때문에 정부가 규제완화 정책에 반도체 증설계획이 포함되면 공업용수 부족량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경기도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전략으로 '경기도의 용수공급 회복탄력성 확보', '신규 수자원 확보', '한탄강댐 이수 목적용 댐으로 전환', '용인 이동저수지를 개량하여 공업용수 전용 댐으로 전환' 등 방안을 제시했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물 이용 계획을 마련해 지자체가 증가하는 용수 수요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신규 수자원 확보 방안으로서 한탄강댐의 다목적화, 이동저수지의 공업용수 전용댐 활용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