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 노디스크의 블록버스터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15일부터 국내에서 주문 접수를 시작했다. 이르면 내일부터 일부 병의원에 공급된다. /사진=CNN 캡처
노보 노디스크의 블록버스터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15일부터 국내에서 주문 접수를 시작했다. 이르면 내일부터 일부 병의원에 공급된다. /사진=CNN 캡처

이르면 내일부터 노보 노디스크의 블록버스터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국내 일부 병·의원에 공급될 전망이다.

15일 뉴시스에 따르면 위고비 유통을 맡은 쥴릭파마코리아는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위고비 물량의 주문 접수를 시작했다.


쥴릭파마의 위고비 출하가격은 1펜(4주분) 당 37만2025원이다. 주사제인 위고비는 0.25㎎, 0.5㎎, 1.0㎎, 1.7㎎, 2.4㎎ 5개 용량으로 구성됐다. 5개 용량의 출하 가격은 동일하다. 한 펜 당 4회 투약 가능해 일주일에 한 번 투약하는 위고비 특성상 한 펜으로 약 한 달(4주)간 사용하는 셈이다.

위고비는 지난 14일부터 2~3차 유통업체(도도매)로 출하가 시작돼 이르면 내일(16일)부터 일부 병·의원·약국에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는 오는 17일 병·의원·약국 공급이 본격화된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겪은 인기 약물인만큼 공급 물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요 대비 물량이 많지 않아 2~3차 유통업체에서 원하는 만큼의 물량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 가격은 월 50~70만원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달에 30~40만원대로 처방되고 있는 위고비의 전 버전인 매일 맞는 주사제 '삭센다'보다 고가이다. 비급여 의약품인 위고비는 의료기관·약국마다 가격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삭센다도 기관마다 가격 형성이 제각각이다.


국내 출시 전 위고비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기적의 비만약'이라 불리며 유명세를 탔다. 특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등 유명 인사들이 투약하며 유명해졌다. 위고비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약물이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는 포도당 의존적인 인슐린 분비 증가 및 글루카곤 분비 저해, 허기 지연 및 체중 감소 효과가 있다.

노보 노디스크가 위고비에 앞서 출시했던 GLP-1 비만치료제 삭센다가 매일 주사해야 했던 것과 달리 위고비는 일주일에 한 번만 투여하면 돼 편리성이 높아졌다. 임상 시험에서 삭센다는 56주 투약 후 7.5%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인 반면 위고비는 68주 투여 후 14.9% 감량 효과를 보였다. 투약 횟수는 줄어들고 약효가 두 배 가까이 향상된 셈이다.

다만 의료진들은 위고비의 오남용을 경계했다.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의 고도비만 환자에게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혹은 BMI가 30㎏/㎡ 미만(27 이상)이더라도 고혈압 등 1개 이상의 동반 질환이 있는 성인 비만 환자가 의료진의 처방을 통해 제한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임상실험 결과 위고비의 부작용으로는 두통·구토·설사·변비·담석증·모발 손실·급성췌장염 등이 있다. 탈수로 인한 신기능 악화·당뇨병(제2형) 환자에서의 저혈당·망막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투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