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2일 'if(kakaoAI)2024'(이프카카오)에서 자사 AI 서비스 '카나나'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2일 'if(kakaoAI)2024'(이프카카오)에서 자사 AI 서비스 '카나나'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그동안 베일에 감춰진 AI 서비스 '카나나'를 속 시원하게 털어놨다. 카나나만의 경쟁력을 강조하면서 차별화된 AI를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가 메신저 '카카오톡'을 통해 쌓아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를 가장 잘 아는 AI를 준비 중이다.

카카오는 22일 'if(kakaoAI)2024'(이프카카오)에서 카나나를 대대적으로 소개했다. 정신아 대표는 카나나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프카카오는 카카오 그룹의 기술 비전과 성취를 공개하는 개발자 콘퍼런스로 2018년 처음 시작됐다. 매년 개최됐지만 지난해엔 열리지 않았다.


정 대표는 이날 "AI 시대 상황 속 맥락까지 더해지는데 '회사에서의 나', '가족 속의 나', '친구 속의 나', '봉사하는 나', '그냥 나' 등 다양한 관계와 환경 속에 나라는 존재가 있다"며 "이 같은 상황을 이해하고 개인화된 결과값을 낼 수 있을 때 가장 AI다운 서비스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방향을 담아 카나나를 탄생시켰다고 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가 카나나를 구현하는 데 기여했다. 정 대표는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상황을 판단해 개인화된 답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메신저 기능과 AI를 결합해 내 일상을 도와주는 '찐친'(진정한 친구)이 되겠다는 각오다.
카카오는 자체 모델 외 오픈소스 모델, 글로벌 언어모델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두루 활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Model Orchestration) 방식을 취했다. 현재 나온 각각 모델은 추론, 이해, 수, 코딩의 각 영역에서 최고 수준이지만 아직 모든 요소에서 압도적인 1위는 없다는 설명이다.

카카오 AI 서비스는 각 질문에 가장 좋은 답을 낼 수 있는 모델을 조합하고 같은 성능을 내는 모델 중 가장 비용이 낮은 모델을 선택하도록 했다고 했다. 이를 통해 AI 모델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실용적인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려는 의도다.

카나나, 일반적 AI 에이전트 넘어 'AI 메이트'로… 'ASI'로 안정성도 높여

이상호 카카오 카나나엑스 성과리더가 22일 이프카카오에서 자사 AI '카나나'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이상호 카카오 카나나엑스 성과리더가 22일 이프카카오에서 자사 AI '카나나'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이상호 카나나엑스 성과리더는 "카카오는 연결 관계에서 수많은 혁신적 서비스를 선보였다"며 "AI에서도 카카오의 서비스 철학을 계승해서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성과리더는 "카나나라는 AI와의 새로운 연결을 만들고자 한다"며 "AI 메이트 카나나는 모두의 짝꿍"이라고 했다. 그는 "짝꿍은 늘 함께하며 얘기를 터놓고 할 수 있는 친구로서 누구보다 나를 잘 알고 나답게 생각할 수 있는 존재"라며 "AI 메이트는 시간이 갈수록 나와 함께 성장하고 '제2의 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카나나는 일반적 AI 에이전트의 효용을 넘어 'AI 메이트'로서의 가치를 지향한다. 이어지는 대화의 맥락 안에서 주요 정보를 기억해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답변을 제시한다.

안정성도 챙겼다. 정 대표는 "정책적 측면에선 AI 안전 이니셔티브인 'ASI'라는 자체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며 "카카오의 AI 윤리 원칙하에 운영되며 AI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하고 평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라고 역설했다.

이어 "기술적 측면에선 '세이프가드 바이 카나나'라는 도구를 개발해 이용자와 AI 간 상호 작용 안전성을 판단하고 문제 시 적절한 조치를 한다"고 밝혔다.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 문맥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0과 1 사이 값으로 변환해 서비스별 위험 기준에 따라 맞춤형 안전 조치를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