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와 단기 급등장 피로감 등 영향으로 강남 포함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2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와 단기 급등장 피로감 등 영향으로 강남 포함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2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사진=뉴시스

시장 매물 적체 속에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와 단기 급등에 대한 가격 피로감 등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2주 연속 하락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넷째주(10월2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6으로 전주(101.0) 대비 0.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 셋째주(101.6→101.0)에 이어 2주 연속 하락이다.


매매수급지수는 아파트 매매시장의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선(100)보다 수치가 높을수록 시장에 집을 팔려는 이보다 사려는 이가 더 많다는 의미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이번주 강남지역 매매수급지수는 101.2로 지난주(101.6)보다 0.4포인트, 강북지역은 100.1로 전주(100.5) 대비 0.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권역별로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속한 동남권이 101.2로 전주(102.1)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영등포·양천·강서구가 포함된 서남권은 전주와 같은 101.2를 유지했다.


강북권은 종로·용산·중구 등이 속한 도심권이 102.7로 전주(102.9) 대비 0.2포인트 하락했고 마포·은평·서대문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은 101.9로 전주(102.7)보다 0.8포인트 떨어졌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속한 동북권은 98.9로 전주(99.2)보다 0.3포인트 낮아졌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4.0으로 전주(94.2)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해당 기간 수도권(98.2→98.0)은 0.2포인트, 지방(90.5→90.4)은 0.1포인트 각각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