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사진)의 백악관 탈환이 유력해진 가운데 미국 생물보안법의 족속 여부가 주목된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사진)의 백악관 탈환이 유력해진 가운데 미국 생물보안법의 족속 여부가 주목된다. /사진=로이터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유력해지면서 미국 생물보안법 존속 여부에 대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 바이든 정부가 추진했던 헬스케어 정책을 축소 또는 재편할 전망이지만 국내 CDMO(위탁개발생산)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되는 미국 생물보안법은 예정대로 입법될 것으로 관측된다.

6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을 꺾고 백악관에 입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오후 3시(미국시각 6일 오전 1시) 기준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을 95% 이상으로 전망했다. 두 후보의 예상 선거인단 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 306석, 해리스 부통령 232석이다. 미국 대선은 선거인단 전체 538명 중 과반인 270석을 가져가면 승리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집권 후 바이든 정부가 수립한 기존 헬스케어 정책을 일부 수정할 전망이다. 일명 오바마케어라고 불리는 ACA(건강보험개혁법) 축소 또는 폐지가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단 오바마케어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으나 지금껏 해당 정책을 반대해온 점을 감안, 폐지 가능성도 언급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말 뉴멕시코주 앨버커키 유세에서 "그녀(해리스 후보)는 내가 오바마케어를 없애려 한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거짓말"이라면서도 "오바마케어는 형편 없기 때문에 우리가 더 나은 것을 만들 수 있다면 훌륭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 견제하는 '초당적 법안'… "트럼프 2기서도 방향성 유지"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로이터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로이터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기존 제약·바이오 산업 관련 정책이 일부 바뀌겠으나 핵심 법안인 생물보안법은 유지될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생물보안법이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 업체들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등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내용이어서다.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 때와 같이 보호무역주의를 기반으로 반(反)중국 정책에 힘을 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공약 '아젠다 47'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필수품 수입을 금지하기 위한 4개년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필수품에는 전자제품·철강과 함께 의약품이 포함됐다. 제약·바이오 산업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생물보안법과 내용이 비슷하다.


생물보안법이 미 의회의 초당적 지지를 받는 것도 법안 지속 가능성에 힘을 더한다. 해당 법안은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에서 찬성 306표, 반대 81표로 통과됐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모두 지지하는 법안을 집권 초기 반대하는 건 트럼프 전 대통령이라고 하더라도 정치적 부담이 클 것이란 게 업계 관계자 설명이다. 입법 마무리는 이르면 연내, 늦으면 내년 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물보안법이 처리되면 중국 업체를 배제하는 기업이 늘며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등 국내 CDMO 업체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물보안법 추진 후 수주 문의가 2배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티팜은 중국을 대체할 블록버스터 신약의 저분자 화학합성 원료의약품 공급사로 선정됐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생물보안법은 바이든 정권에서 발의되긴 했으나 트럼프 2기에도 방향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공화당과 민주당이 함께 발의한 초당적 법안이면서 트럼프 역시 중국 제조 의약품 수입을 줄여야 한다는 내용을 언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