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강조해 온 정책기조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우리 대외경제 여건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한미 양국은 굳건한 한미동맹 기조하에 수십 년간 상호호혜적인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해 온 만큼, 앞으로도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가 '단단한 바위'처럼 유지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범정부 컨트롤타워로 해 선제적이고 빈틈없는 대응을 해 나가겠다"며 "금융·외환시장, 통상, 산업 등 외부로부터 영향이 큰 3대 분야는 각각 별도 회의체를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내일(8일)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미국 대선과 FOMC 결과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할 계획"이라며 "새 정부·의회 구성과 FOMC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각별한 긴장감을 가지고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단계별 대응계획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통상환경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글로벌 통상전략회의' 등을 통해 기민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공약 구체화 과정에서 국내 산업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이달 중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가동해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후발국 추격 가속화, 첨단기술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최근 글로벌 산업·통상환경 변화에 발맞춰 우리 산업의 질적 도약과 고부가가치화가 절실한 시점"이라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우리 기업이 사업 모델 전환을 추진하면 정부는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