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이지엔터테인먼트(YG) 주가가 장기 부진에서 벗어나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해 주목된다. 블랙핑크 등 대형 아티스트의 활동 재개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가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관측된다. 실적 부진으로 앞서 밝힌 주주환원 정책도 실행 못 할 가능성이 높아 최근 YG 주가 상승이 반등의 신호탄인지 신기루에 그칠지 주목된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올해 3분기 누계기준 매출액 2609억원, 영업손실 21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4598억원) 대비 43% 급감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매출원가율도 74%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66%) 대비 8% 증가해 수익성도 악화됐다.
YG의 실적이 악화된 것은 주요 수익원인 블랙핑크가 팀 활동을 중단하고 개인 활동에 집중하며 독립을 선언해서다. 이로 인해 YG의 매출 규모는 크게 축소됐다. 신인 그룹 베이비몬스터도 신곡 활동에 따른 높은 지출에도 불구하고 음반·음원 판매와 팬 투어를 제외한 특별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했다. 블랙핑크의 부재와 베이비몬스터의 비용 부담이 겹치며 YG는 경영난에 직면하게 됐다.
부진한 실적으로 현금창출력을 의미하는 지표도 악화됐다. YG의 올해 3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누계기준 30억원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868억원의 순유입을 기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기업이 본업을 통해 버는 돈으로 사업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다.
현금흐름이 급격하게 둔화한 것은 영업활동 현금흐름 계산의 출발점인 당기순이익이 크게 줄어서다. YG는 본업에서의 부진으로 올해 3분기까지 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같은 기간에는 732억원을 벌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급격한 악화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지난해 3분기 1205억원에서 올해 611억원으로 약 594억원(49%) 줄었다.
실적이 고꾸라지면서 올해 처음 수립, 발표했던 주주환원 정책도 무색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YG는 지난 2월 3개년도 주주환원 정책을 내놨다. 이 기간 별도기준 연간 당기순이익의 10~20%를 현금배당하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올해 적자 실적이 이어지고 있는데다 4분기 극적인 반전을 기대하기 어려워 배당은 무산될 전망이다.
하지만 YG 주가가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해 6월 한때 9만7000원까지 올랐던 YG 주가는 이후 가파른 내리막길을 걸으며 지난 9월 중순 3만원 아래로 떨어졌으나 지난 18일 4만5500원으로 거래를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최근 한 달 동안 주가 상승폭은 15%를 넘는다.
증권업계에서는 2025년 아티스트 컴백과 공연 일정 확대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한다. 내년부터 블랙핑크·2NE1 등 대형 아티스트들의 활동이 본격화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나증권은 "올해 연간 적자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1년 동안 이어진 앨범 감소 현상이 일단락 되면서 2025년 BTS와 블랙핑크의 동반 컴백을 주가에 선 반영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